자주 생기는 현상은 아니지만 랜선이나 와이파이를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할 때 잠깐잠깐씩 끊길 때가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줄이기 위해선 더 나은 인터넷 요금제로 바꾸거나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동시에 연결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 유선과 무선 인터넷을 동시에 연결하면 좋은 이유와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동시에 무선과 유선 네트워크를 연결해야 되는 이유
와이파이 공유기가 대중화되면서 컴퓨터에도 무선 와이파이로 연결을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무선 와이파이는 보통 속도가 유선보다 느려서 게임이나 인터넷을 이용하다보면 무선네트워크가 잠시 끊겨서 서버가 끊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무선과 유선 네트워크 즉 와이파이와 랜선을 동시에 연결해두면 둘 중에 하나가 잠시 불안정하더라도 다른 하나가 네트워크를 보조해서 네트워크가 끊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때에 따라서 회사에서 서버를 나누기 위해 무선 인터넷과 유선 인터넷을 따로 구분해서 사용해야 될 때 유용합니다.
무선과 유선 네트워크를 동시에 연결 방법
와이파이와 랜선을 연결한다고 해서 동시에 연결이 되는 것은 아니고 별도의 방법이 필요합니다. 아래의 방법대로 따라하시면 무선과 유선 인터넷을 동시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1. 실행 단축키 Window키 + R을 눌러 창 실행 창을 띄웁니다.
2. gpedit.msc 를 입력하여 그룹 정책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3. 그룹 정책 편집기가 열리면 좌측 탭부터 컴퓨터 구성 -> 관리 템플릿 -> 네트워크 -> Windows 연결 관리자 순으로 이동합니다.
4. “인터넷 또는 Windows 도메인에 대한 동시 연결 수 최소화” 설정을 선택해서 더블 클릭합니다.
5. 창이 열리면 “구성되지 않음”을 “사용”으로 바꿔주고 하단의 옵션 창에 정책 옵션이 나오면 “0=동시 연결 허용”을 선택합니다.
6. 0으로 설정을 하면 모든 연결을 동시에 사용이 가능하게 변경이 됩니다.
무선랜과 유선랜 동시 접속시 우선순위 결정하는 방법
무선과 유선 동시에 인터넷을 연결하였다면 우선으로 사용할 네트워크를 정해야합니다. 저는 유선 네트워크를 먼저 연결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래의 방법대로 따라해보시길 바랍니다.
1. Window키 + S를 누르고 네트워크 연결 보기를 검색하고 실행합니다.
2. 그러면 Wi-Fi와 이더넷이 잘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우선순위 변경을 원하는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우클릭해서 속성을 클릭합니다.
4. 이더넷 속성창이 뜨면 하단의 옵션 창에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의 속성”을 클릭하고 속성으로 들어갑니다.
5. 일반창이 뜨는데 하단 “고급”으로 들어가줍니다.
6. IP설정 하단에 자동 메트릭을 “체크해제”하고 인터페이스 메트릭 칸에”1” 을 적습니다.
(우선 순위는 낮은 번호가 우선)
7. 기본 게이트웨이 “편집”을 클릭합니다.
8. TCP/IP 게이트웨이 주소창이 뜨면 자동 메트릭을 “체크해제”하고 메트릭 칸에 “1”을 적습니다.
마무리
인터넷은 예고하고 끊기지 않기때문에 중요한 작업을 하시는 분이라면 미리미리 동시에 연결을 하여서 작업손실을 줄여보시길 바랍니다.